건강생활

침묵의 살인자 고혈압 :

산골물 2021. 8. 22. 15:34

들어가며

고혈압이 위험하다는 말을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우리나라 성인 인구의 4명 중 1명이 고혈압 환자일 정도로 고혈압은 흔하디 흔한 질병입니다. 그러나 고혈압에 대해서 제대로 설명할 수 있는 사람은 많지 않은 것 같습니다.

 

혈압이 무엇인지, 혈압은 어떻게 숫자로 표현할 수 있는지, 얼마나 높아야 고혈압 상태인지, 고혈압 상태가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고혈압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방법이 무엇인지, 등등.

 

지금부터 하나씩 알아보겠습니다. 고혈압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혈압'이 무엇인지를 알아야겠죠?

 

1. 혈압이란?

 

우리 몸은 약 60조 개의 세포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각각의 세포는 영양분과 산소를 필요로 합니다. 세포에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 피, 즉 혈액입니다.

 

피는 심장에서 만들어집니다. 피가 다니는 길을 혈관이라고 합니다. 혈관에는 동맥과 정맥 그리고 모세혈관이 있습니다.

 

동맥(artery)은 심장에서 나온 피를 온몸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모세혈관(capillary)은 실핏줄이라고도 하는데 동맥에서 피를 받아 조직세표에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고,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수거하여 정맥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정맥(vein)은 모세혈관에서 받은 피를 다시 심장으로 보내주는 역할을 합니다.

 

혈관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동맥입니다. 동맥을 통해 혈액을 공급해 주지 않으면 살 수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동맥을 상수도로, 정맥을 하수도로 비유하기도 합니다.

 

심장은 펌프처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면서 동맥에 혈액을 공급합니다. 혈액은 시속 약 216km의 속도로 혈관 속을 달린다는군요.

 

이때 혈액이 동맥 혈관에 가하는 압력을 수치화한 것을 혈압(blood pressure)이라고 합니다. 심장이 수축할 때의 혈압을 수축기 혈압(최고혈압)이라고 하고, 심장이 이완할 때의 혈압을 이완기 혈압(최저혈압)이라고 합니다.

 

혈압의 단위로는 mmHg를 씁니다. mm은 밀리미터, Hg는 수은의 화학기호입니다. 100mmHg는 수은을 수직으로 100밀리미터, 즉 10센티미터만큼 밀어올리는 힘을 말합니다. 수은의 비중은 물보다 13배 크므로 이는 물을 1미터 30센티미터 높이로 뿜어낼 수 있는 대단한 힘입니다.

 

혈압을 표기할 때는 「수축기혈압/이완기혈압」 형식으로 합니다. 즉, "120/80"이란 수축기 혈압이 120mmHg이고 이완기 혈압은 80mmHg라는 뜻입니다. 

 

2. 고혈압이란?

고혈압이란 말 그대로 혈압이 높은 상태를 말하겠죠? 의학적으로는 '혈압이 정상보다 올라간 상태'를 말합니다. 대한고혈압학회가 발표한 「고혈압 진료지침」에 따르면 혈압에 대해서 다양하게 분류하고 있습니다.

 

    • 고혈압은 고혈압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엄격한 무작위배정 임상시험에서 약물치료의 효과가 입증된 역치 이상의 혈압으로 정의하고, 현재까지의 임상시험 근거를 바탕으로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 또는 이완기 혈압이 90mmHg 이상을 고혈압으로 분류하며, 혈압의 높이에 따라서 1기 고혈압과 2기 고혈압으로 구분합니다.
    • 정상혈압은 임상적으로 심뇌혈관 위험도가 가장 낮은 최적혈압으로서, 수축기 혈압과 이완기 혈압 모두 120mmHg와 80mmHg 미만일 때를 말합니다. 정상혈압을 넘었다고 해서 모두 고혈압이라고 부르진 않습니다. 고혈압으로 가기 전에 주의 혈압과 고혈압 전단계를 거칩니다.
    • 주의 혈압은 수축기 혈압이 120~129mmHg 그리고 이완기 혈압이 80mmHg 미만인 때를 말합니다.
    • 고혈압 전단계는 수축기 혈압이 130~139mmHg이거나 이완기 혈압이 80~89mmHg인 경우를 말합니다.
    • 수축기 단독 고혈압은 이완기 혈압이 90mmHg 미만이면서 수축기 혈압만 140mmHg 이상으로 상승된 혈압을 말합니다.

 

혈압의 분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정상혈압 120 미만 그리고 80 미만
주의혈압 120 ~ 129 그리고 80 미만
고혈압전단게 130 ~ 139 또는 80 ~ 89
고혈압 1기 140 ~ 159 또는 90 ~ 99
2기 160 이상 또는 100 이상
수축기단독고혈압 140 이하 그리고 90 초과

 

3. 고혈압의 위험성 : 합병증

질병관리청의 국민건강영양조사에 따르면,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30세 이상 인구 중 27.2%가 고혈압 환자라고 합니다. 성별로는 남자의 31.1%, 여자의 22.8%가 고혈압 환자입니다.

연령대별로 보면 30대는 9.5%, 40대는 19.0%, 50대는 32.3%, 60대는 51.5%, 70대는 67.2%가 고혈압 환자입니다. 나이가 들어갈수록 고혈압 환자가 급증하고 있는 것을 보니 고혈압은 자연스러운 노화현상이라고 할 수 있겠네요.

 

고혈압은 환자에게 특별한 증상이 없습니다. 혈압이 높다고 해서 일상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은 없다는 거죠. 그러나 고혈압은 세계보건기구(WHO)에서도 인정한 사망 위험요인 1위의 무서운 질환입니다. 증상도 없이 사망에 이르게 한다고 해서 '침묵의 살인자'라는 별명이 붙었죠.

 

고혈압이 위험한 것은 그것이 다음과 같이 심뇌혈관질환을 비롯한 여러가지 치명적인 합병증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 동맥경화증

동맥경화란 혈관벽 내부에 콜레스테롤 등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는 전신성 질환입니다. 혈관에 높은 압력상태가 지속되면 혈관 벽이 손상되고, 손상된 곳에 지방 등 노폐물이 쌓여 혈관이 좁아지고 딱딱해지는 동맥경화증으로 발전되고, 이것이 다시 혈압을 상승시키는 악순환이 반복됩니다. 동맥경화증은 심뇌혈관질환의 주요 원인입니다.

 

▶ 심혈관계 질환(협심증, 심근경색증)

고혈압을 장기간 방치하면 심장이 높은 압력을 견디느라 과도한 힘을 쓰게 됩니다. 그러다가 심장 근육이 두꺼워져 탄력을 잃게 되고 심장 기능의 저하를 가져오게 됩니다. 고혈압 환자의 심혈관계 질환 발생률은 정상인의 3배에 이른다고 합니다.

 

협심증이란 심장 동맥이 부분적으로 막혀서 평상시에는 증상이 없지만 심장 활동이 증가할 때에는 심장에 혈액이 충분하게 공급되지 않으면서 가슴이 조이는 듯한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휴식을 취하면 통증이 가라앉습니다.

 

심근경색증이란 심장에 피를 공급하는 관상동맥이 막혀 심장근육의 조직이나 세포가 죽어가는 질환입니다.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의 1/3은 병원에 도착하기 전에 사망하고, 병원에 도착해서 적절한 치료를 받는다고 해도 5~10% 정도는 사망한다는군요.

 

협심증과 심근경색증을 허혈성심장병이라고 부릅니다. 허혈이란 피가 부족하다는 뜻입니다.

 

▶ 뇌졸중(뇌출혈, 뇌경색)

뇌졸중이란 뇌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뇌경색) 터지면서(뇌출형) 뇌에 손상이 생기고, 이로써 발생하는 편측마비, 언어장애 및 의식장애 등의 신경학적 이상을 말합니다. 뇌세포는 몇 분만 혈액이 공급되지 않아도 손상되며, 죽은 뇌세포는 다시 살아나지 않습니다. 고혈압 환자의 뇌졸중 발생률은 정상인의 7배에 달한다고 합니다.

 

▶ 심부전 (心不全)

 심장 고유의 기능이 약화되어 전신에 혈액을 충분히 공급하지 못하는 상태를 말합니다. 고혈압이 오래되면 좌심실이 비대해지고 심장 근육의 섬유화가 진행되어 심장 기능이 떨어지게 됩니다. 심부전 진단 후 5년 내에 사망할 확률이 50%나 된다고 합니다.

 

▶ 신부전(腎不全)

신장(콩팥)은 우리 몸의 좌우에 하나씩 있는데, 혈액 속의 노폐물을 걸러 소변으로 배출시키고, 혈액 속의 전해질 농도를 조절하거나 혈압을 조절하는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신부전이란 신장이 제 기능을 못하여 온몸에 문제를 일으키는 것을 말합니다. 고혈압이 장기간 지속되면 신장 모세혈관이 높은 압력에 의해 손상되고 노폐물 배설 기능을 저하시키는 만성신부전증을 일으키게 됩니다.

 

▶ 고혈압성 망막증(網膜症)

높은 혈압이 지속되면 눈의 망막 동맥에 변화가 생겨 망막동맥의 출혈, 삼출액, 유두부종 등이 나타나서 시력이 희미하게 보이거나 전혀 안 보이는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를 고혈압성망막증이라고 합니다. 고혈압 15년 이상이면 망막증 발병률이 높아진다고 합니다.

 

 

정리하며

지금까지 고혈압이란 무엇이고 우리 몸에 어떤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특히 젊은 층에서, 고혈압이 주는 경고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나는 아직 젊으니까', '아무런 불편함을 느끼지 못해서', '혈압약을 먹기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고 해서' 등등 온갖 구실을 다 갖다 붙입니다.

 

저 자신이 그랬습니다. 젊은 시절에 혈압이 높다는 사실을 알았지만 운동 등을 통해 스스로 해결하려고 했습니다. 그러나 최근에 건강검진을 통해 심장과 경동맥(뇌로 피를 공급하는 동맥)에 문제가 있음이 발견되어 만시지탄의 심정으로 의사의 도움을 받아 치료를 하고 있습니다.

 

사망 위험요인 1위, 침묵의 살인자 고혈압을 그냥 방치하지 마세요. 나중에 큰 대가를 치를 수 있으니까요.

 

끝까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건강하고 행복한 삶을 영위하시길....